건강정보214 메밀차 효능 | 부작용 메밀국수나 메밀전으로 만들어 일상의 별미로 즐기던 메밀은 사실 교맥이라는 이름으로 오랜 옛날부터 한방의 본초로도 이용되어 왔습니다. 최근에는 특히 현대인의 건강에 효과가 크다는 이야기가 알려지면서 메밀의 약성을 쉽게 섭취할 수 있는 메밀차가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메밀차의 효능과 부작용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메밀이란 메밀은 우리나라에서 5세기 경부터 재배가 시작됐을 정도로 오랫동안 우리 식탁에 올라온 곡물입니다. 주로 구황작물로 많이 이용했는데, 생육 기간이 100일 정도로 짧으면서도 건조하고 척박한 땅에서도 잘 자라 농토가 부족한 산간 지역에서도 쉽게 재배할 수 있었기 때문입니다. 강원도에서 메밀을 많이 재배하고 메밀 관련 음식이 다양하게 개발된 것도 이런 이유입니다. 메밀은 '뫼밀'이라.. 2023. 9. 29. 낙산균 효능 | 부작용 장은 생각보다 우리 몸에 생기는 다양한 질환과 깊은 연관성을 갖고 있습니다. 제2의 뇌라고 할 정도로 장은 우리 몸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데, 장이 나빠지면 소화기 질환뿐만 아니라 비만이나 당뇨, 우울증, 자폐증 등 장과 별 관련이 없어 보이는 질환에까지도 영향을 미칩니다. 이 글에서는 장 건강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낙산균의 효능과 부작용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낙산균이란 장은 체내 면역세포의 70%가 집중되어 있는 최대 면역기관이며, 행복감을 조절하는 세로토닌의 90%를 만들어 내고 소장에서 병원균이 침입하는 것을 막아주는 아주 중요한 기관입니다. 장 내 미생물들이 뇌와 장 사이에 신호를 전달하는 역할을 해, 장이 나빠지면 뇌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이론도 있을 정도입니다. 이런 장을 건강하게 유지하려.. 2023. 9. 28. 병아리콩 효능 | 먹는 법 병아리콩이 우리나라에 알려진 것은 비교적 최근의 일이지만, 세계적으로 보면 대두와 함께 가장 많이 소비되고 있는 콩류입니다. 인류 역사 초기에 재배를 시작한 곡물 중의 하나로, 인류의 식탁에 올라온 역사도 깊고 그만큼 세계 여러 나라에서 중요한 곡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병아리콩의 효능과 먹는 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병아리콩이란 크기가 작고 동글동글하면서 한쪽이 부리처럼 살짝 튀어나온 게 마치 병아리 머리 같다고 해서 병아리콩이란 이름이 붙었습니다. 영어로도 chickpea라고 하고, 오래전부터 주식으로 삼아 온 나라의 이름을 따 이집트콩, 인도콩이라고도 합니다. 우리나라에서 유통되는 병아리콩은 대부분 크림색이지만 종에 따라 검은색을 띠는 것도 있고 크기도 다양합니다. 기후가 맞지 않은.. 2023. 9. 27. 쥐눈이콩 효능 | 먹는 법 콩이 몸에 좋다는 것은 널리 알려진 사실이지만, 콩 중에서도 쥐눈이콩은 특별히 약콩이라고 불리면서 오랜 옛날부터 한방에서 중요한 약재로 사용되어 왔습니다. 민간에서는 해독과 기침을 멈추고 열을 내리는 상비약으로 사용되어 왔는데, 현대에 들어와 약콩이 가진 다양한 효능이 과학적으로 밝혀지면서 많은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쥐눈이콩의 효능과 먹는 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쥐눈이콩이란 쥐눈이콩은 색이 까만 검정콩입니다. 보통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검정콩은 쥐눈이콩 말고도 흑태와 서리태가 있습니다. 크기로 쉽게 구분할 수 있는데, 흑태는 검정콩 중에 제일 크고 껍질을 까보면 속이 노란색이어서 금방 구별이 됩니다. 콩자반 할 때 많이 쓰는 콩입니다. 서리태는 섞어서 잡곡밥을 하거나 떡을 만들 때 주.. 2023. 9. 26. 파바빈 부작용 꼭 확인하세요 GI지수가 낮아 당뇨 관리에 좋다고 소문이 나면서, 요즘 우리나라에서 많은 인기를 끌고 있는 식재료가 파바빈입니다. 파바빈의 효능은 당뇨 관리에서 그치는 게 아니라 심혈관계와 소화기의 건강을 개선해 주고 항산화효과도 있으며, 무엇보다도 체중 관리와 변비 증상 완화에도 도움이 된다고 하니 인기가 높을 수밖에 없습니다. 파바빈이 우리나라에 알려진 것은 그리 오래된 일은 아니지만, 사실 파바빈은 인류가 최초로 경작하기 시작한 곡물 중의 하나로, 아메리카 대륙으로부터 감자가 도입되어 대체되기까지 오랜 역사를 통해 유럽인의 식탁 한가운데를 차지했던 식품입니다. 파바빈은 중량을 기준으로 했을 때 평균 약 25~30%가 단백질로 구성되어 있을 정도로 식물성 단백질이 아주 많이 들어 있는 고단백식품입니다. 또한 비타민.. 2023. 9. 25. 간수치 300의 의미는 무엇일까 간 기능에 대한 검사는 보통 혈액검사를 통해 이루어집니다. 피 속에 들어 있는 특정 물질이 어느 정도 있는지를 확인해서 간의 이상 여부를 판별하는데, 이때 나오는 수치를 간수치라고 합니다. 이 글에서는 간수치 300이 어떤 의미를 갖고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간수치란 간 기능을 검사하기 위한 혈액검사에서는 보통 ALT, AST, ALP, PT, 감마GT, 빌리루빈, 알부민, 프로틴 등의 수치를 봅니다. 이 중에서 일반적으로 간수치 얼마다라고 표현하는 것은 ALT와 AST의 양을 말합니다. ALT는 GPT, AST는 GOT라고 표기하기도 합니다. ALT와 AST는 효소인데, ALT는 주로 간에 들어 있는 효소이고, AST는 간은 물론 뇌와 근육, 심장, 신장 등에도 들어 있습니다. 그런데 간세포가 파괴되면.. 2023. 9. 24. 이전 1 ··· 23 24 25 26 27 28 29 ··· 36 다음